Windows Server 2008 & 2008R2 지원 종료기간이 약 6개월 남았습니다.

서비스 지원이 종료되면 기술 지원은 물론 보안 업데이트도 불가합니다.

보안 업데이트가 불가능 할 경우 여러가지 보안 위협에 대한 문제가 야기 될 수 있습니다.

Windows Server 2008 또는 2008R2를  가급적 최신 버전으로의 변경을 검토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제품

추가 지원 종료

Windows Server 2008 Datacenter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Datacenter(Hyper-V 없음)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Enterprise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Enterprise(Hyper-V 없음)

2020-01-14

Itanium 기반 시스템용 Windows Server 2008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Foundation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R2 Datacenter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R2 Enterprise

2020-01-14

Itanium 시스템용 Windows Server 2008 R2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R2 Standard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Standard

2020-01-14

Windows Server 2008, Standard(Hyper-V 없음)

2020-01-14

솔라리스 사용중 내부에서 연결이 잘되는데

pkgadd 등을 사용 할때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네트워크 설정 중에 보안 등의 이유로 DNS 관련 설정을 하지 않은 경우

DNS 정보를 찾이 못해서 그렇다.

DNS 설정 방법은

/etc/resolv.conf 에 네임서버 정보를 입력해 준다.

#vi /etc/resolv.conf
nameserver 168.126.63.1
nameserver 168.126.63.2

 

그리고 /etc/nsswitch.conf 파일에서 hosts 설정을 아래와 같이 변경해 준다

#vi /etc/nsswitch.conf
hosts: file dns

 

위에서 처럼 두개의 파일을 수정 해주면 dns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OS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AIX 메모리 교체 방법  (0) 2013.12.12
IBM ASM Event Log 확인 하기  (0) 2013.12.10
[AIX] AIX IP 설정하기  (0) 2013.11.29

 

Linux 사용중 fdisk 등을 이용하여 파티션 정보를 변경한 후에는 /etc/fatab 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fatab을 수정하지 않고 리부팅을 하면 다음과 같이

 

fsck.ext4 : Unable to resolve 'UUID-~~~~~~~~~~~~~~~~~~~~~~~~~~~cb830' [FAILED]

 

와 같은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해당 오류를 제시히 보면 어떤 오류가 발생 했는지 알 수 있다.

'UUID=f1ad7cba-0572-405c-8615-d0cb692cb830' 을 사용하는 파티션에 문제가 있다는 애용이다.

 

화면에 root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로그인이 가능하다.

 

로그인 후

mount -o remount rw /

를 실행해서 fstab을 수정 할 수 있도록 한다.

 

vi /etc/fatab 을 실행한다.

 

해당 부분에 대한 내용을 삭제 한다. 여기서는 12번 줄의 내용을 삭제

 

그리고 reboot 하면 오류 없이 정상 적으로 부팅이 가능하다.

 

또는 수정한 파티션 정보를 이용하여 마운트를 시켜 주면된다.

blkid 를 이용해서 파티션 정보를 확인한다.

 

fstab UUID 부분을 해당 파티션의 정보로 변경 하면 된다.

 

또는 기존과 같이 /dev/sdc1 과 같은 방식으로도 사용 할 수 있다.

CentOS 설치한 서버에서 네트워크 접속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 하였을 경우

 

라우팅 설정 문제로 인하여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라우팅 설정을 확인 하기 위해서 route 를 입력해 보자.

 

 

그림은 정상적으로 작동 되는 route 정보 이다.

 

숨겨진 IP 정보는 eth1 으로 192.168.56.0/24 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eth0을 이용한다.

 

라우팅 정보를 확인하고 장치와 설정값이 잘 못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값을 수정해 줘야 한다.

 

게이트웨이 삭제

route del default dev <장치명>

예) route del default dev eth0

 

게이트웨이 추가

route add default gateway <GW IP> dev <장치명>

예) route add default gateway 192.168.0.254 dev eth1

 

 

 

 

CentOS(리눅스)를 운영중인 장비에 하드디스크 등 저장장치를 추가 하면

 

디스크를 이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해줘야 합니다.

 

디스크 설치 후

fdisk –l 을 이용해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

새로 설치된 디스크는 파티션 정보가 없습니다.

 

디스크 정보를 확인 했으면 fdisk 를 실행 합니다.

fdisk <장치명> (예 : fdisk /dev/sdb)

 

fdisk 메뉴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m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p를 입력해서 파티션 정보를 확인합니다.

파티션이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n 을 입력하면 파티션을 새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n을 누르면 두개의 메뉴가 나옵니다.

e(extended) 확장 파티션과, p(primary partition) 주파티션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주 파티션을 선택하고 partition number 는 첫번째 파티션 이니까 1번을 선택했습니다.

파티션넘버 다음에는 파티션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용량으로 나오지가 않고

Cylinder 크기로 나옵니다. 시작 점과 종료 점을 선택해 주면 됩니다.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엔터, 엔터 로 진행하셔도 됩니다.

파티션 사이즈까지 설정 완료 하였으면, w를 눌러 정보를 저장합니다.

 

파티션 설정이 끝났으면 원하는 파일 형식으로 파티션을 포맷합니다.

Ext4 형식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습니다.

mkfs.ext4 <디스크명> <예 : mkfs.ext4 /dev/sdb1>

 

포멧이 완료 되면 해당 파티션을 마운트 합니다.

 

마운트 방법은

mount –t ext4 /dev/sdb1 /data

mount –t <파일시스템형식> <파티션명> <마운트할위치> 입니다

 

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를 되게 하기 위해서는 /etc/fstab을 수정해 저야 합니다.

Centos 6.3부터는 fstab 마운트에 UUID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UUID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blkid 명령어를 이용하거나

ls –l /dev/disk/by-uuid 를 통해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UUID를 확인한 후에 fatab을 열어 마운트할 내용을 추가해 줍니다.

Vi /etc/fatab

UUID = 추가할 파티션의 UUID <마운트할위치> ext4 defaults 1 2

 

Centos 사용중 하드웨어 장애로 인하여 메인보드나 랜카드를 교체한 경우

 

기존 하드웨어 정보가 남아 있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fconfig 를 이용해서 보면 기존에 eth0, eth1 로 설정되어 있던 장치 이름이

 

eth3, eth4 처럼 기존에 사용하던 장치 명과는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치 명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의 수정이 필요 합니다.

vi에디터로 해당 파일을 열어 보면

 

# vi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Mac Address, Device Name 등을 할 수 있습니다.

 

Mac Address로 수정할 장치를 확인 하신 후 사용하지 않는 정보는 삭제 하고 NAME 을 수정해서 장치명을 변경 합니다.

 

장치 정보 변경 후에는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합니다.

변경할 장치의 설정 파일을 열어서(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장치명)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DEVICE 값을 확인하고 HWADDR 에 있는 MAC Address 값을 장치 정보와 맞게 수정합니다.

 

값을 수정한 후에는

# Service network restart 등의 명령어를 통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 해 줍니다.

 

 

 

 

 

 

 

 

Active Directory에 조인되어 있는 Windows Server가 갑자기 오류가 발생 했다

 

로그인을 시도하자 아래 화면처럼

 

"워크스테이션과 주 도메인 사이의 트러스트 관계에 이상이 있습니다."  라고 나오면서  로그인이 불가 하였다.

 

 

 

1. 해결을 위하여 우선 랜케이블을 제거 하고 로그인 한다.

 

    네트워크가 끊어질 경우 로그인시 AD와 통신을 하지 않고 캐시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해서 로그인이 가능하다.

 

2. 서버에서 작동 중인 서비스 중 기본 서비스를 제외하고 사용 안함으로 변경 했다.  혹시 모를 오작동을 예방화기 위한 조치임

 

3. 로컬 계정의 사용 유무를 확인하고 패스워드가 기억나지 않을 경우 패스워드를 변경 한다.
   <로컬 계정이 사용 가능할 경우 생략>
 

4. 로그아웃 후 로컬계정으로 로그인 한다.

 

6.  도메인그룹을 워크그룹으로 변경한 후 Client를 다시 시작 한다.

 

7.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AD에 다시 조인 시킨 후 다시 시작 한다.

 

8. AD 계정으로 로그인 후 사용안함으로 변경해 두었던 서비스를 원래대로 복구 시킨다.

 

 

 

Linux  사용중 오류 등으로 인하여 특정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 시켜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에는 우선

 

ps -ef | grep [실행중인 프로세스 이름] 을 입력해서 해당 프로세스의  pid를 알아 낸다

 

실행 중인 vi 에디터의 찾아 보면 vi 에니터 두개가 실행 중이며 각 vi 에디터의 pid는 9572, 9672인것을 볼 수 있다.

 

 

프로세스를 죽이기 위한 kill 명령어는  kill -9 [pid] 이다

 다음과 같이 실행 해서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 시킨다.

 

 kill -9 9572

kill -9 9672

 

프로세스 종료 후 프로세스를 호가인 해면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 된것을 확인 할 수 있다.  


 

 

 

VI 에디터를 이용해서 httpd.conf를 수정을 하려고 하니

 

E325: ATTENTION ~~~~ 생략

 

이라는 메세지가 나왔다.. 다시 나갔다 들어와도 동일한 에러 발생

 

VI에디터 사용중이 정상적으로 에디터가 종료되지 않고 빠져 나왔을 경우  이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해결방법은 에러 메세지 아래쪽에 친절하게도 잘 나와 있다. 

 

vim -r httpd.conf 는 실행해 봤지만 해결이 되지 않아서 아래 방법을 이용했다.

 

우선 ls 명령어로 파일 목록을 보니 .httpd.conf.swp 파일이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혹시나 하고 find 를 실행보니 해당 파일을 발견 할 수 있었다.

 

rm ./.httpd.conf.swp 를 실행 하여 해당 파일을 삭제 했다.

 

 

 

 

.httpd.conf.swp 파일 삭제 후 httpd.conf를 열어 보니 해당 메세지가 나타나지 않는다.

 

 

리눅스를 사용해서 각종 설정을 VI 에디터를 이용해서 수정하게 됩니다.

 

에러가 난 부분의 줄번호를 알고 있다면 손쉽게 에러가 발생 한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VI 에디터는 기본적으로 줄번호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줄번호를 보기 위해서는 :set nu  를 입력해 주식면 됩니다.

 

줄번호를 제거하는 명령어는  :set nonu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