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설치한 서버에서 네트워크 접속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 하였을 경우

 

라우팅 설정 문제로 인하여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라우팅 설정을 확인 하기 위해서 route 를 입력해 보자.

 

 

그림은 정상적으로 작동 되는 route 정보 이다.

 

숨겨진 IP 정보는 eth1 으로 192.168.56.0/24 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eth0을 이용한다.

 

라우팅 정보를 확인하고 장치와 설정값이 잘 못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값을 수정해 줘야 한다.

 

게이트웨이 삭제

route del default dev <장치명>

예) route del default dev eth0

 

게이트웨이 추가

route add default gateway <GW IP> dev <장치명>

예) route add default gateway 192.168.0.254 dev eth1

 

 

 

Centos 사용중 하드웨어 장애로 인하여 메인보드나 랜카드를 교체한 경우

 

기존 하드웨어 정보가 남아 있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fconfig 를 이용해서 보면 기존에 eth0, eth1 로 설정되어 있던 장치 이름이

 

eth3, eth4 처럼 기존에 사용하던 장치 명과는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치 명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의 수정이 필요 합니다.

vi에디터로 해당 파일을 열어 보면

 

# vi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Mac Address, Device Name 등을 할 수 있습니다.

 

Mac Address로 수정할 장치를 확인 하신 후 사용하지 않는 정보는 삭제 하고 NAME 을 수정해서 장치명을 변경 합니다.

 

장치 정보 변경 후에는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합니다.

변경할 장치의 설정 파일을 열어서(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장치명)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DEVICE 값을 확인하고 HWADDR 에 있는 MAC Address 값을 장치 정보와 맞게 수정합니다.

 

값을 수정한 후에는

# Service network restart 등의 명령어를 통해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 해 줍니다.

 

 

 

 

 

 

 

 

그냥 보기에는 같아 보이는 랜케이블 이지만 규격에 따르 속도와 대역폭의 차이가 발생한다.

 

사내의 랜 배선이 100Mbps를 지원하는 CAT 5 케이블로 되어 있는 곳에서 아무리

 

기가비트 스위치와 랜카드를 추가 한다고 해서 기가비트의 속도를 낼수는 없는 것이다.

 

랜 케이블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구분

CAT.5 

CAT.5E 

CAT.6 

CAT6.E 

CAT.7 

 전송속도

 100Mbps

1Gbps 

1Gbps 

10Gbps 

10Gbps 

 대역폭

 100Mhz

100Mhz

250Mhz

500Mhz 

600Mhz 

 규  격

 100BASE-TX

1000BASE-TX

1000BASE-TX 

10G BASE 

10G BASE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한다면 CAT.5E나 CAT.6를 사용할 것이다.

 

둘다 속도는 1Gbps의 속도가 나온다.

 

하지만 주변 환경에 간섭이 많거나, 케이블의 배선 길이가 길어 진다면 과연 똑같은 속도가 나올수 있을까

 

가능하면 나는 CAT.6 케이블을 이용해서 배선을 하자고 말하고 싶다.

 

 

일반적으로 로드밸런서를 구축한다고 하면

 

L4 스위치나, 로드밸런서 장비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예산이 많지 않은 중소 기업에서는

 

꽤 부담 스러울수 밖에 없다.

 

오픈소스 로드 밸런서를 찾아 보던중 Zen Load Balancer를 알게 되었고

 

현재 메일 시스템의 앞단의 로드밸런서로 훌륭히 역활을 하고 있다.

 

 

다운로드는 다음 사이트에서 할수 있다.

 

http://www.zenloadbalancer.org/

 

 

설치 방법은 아래 링크의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유뷰트의 동영상도 있어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http://www.zenloadbalancer.org/web/index.php?page=documentation

 

리눅스 기반으로 x86 서버에 설치 운영이 가능하며

 

고가용성을 위한 클러스터링도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서버 팜 구성 화면

 

  

 서버 팜 관리 화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화면

 

시스템 상태

고가용성 구성을 위한 클러스터링도 설정 할 수 있다. Active-Stanby 방식이며 장애시 보조 서버가 작동 된다.

 

클러스터링 상태 확인 및 테스트 진행 화면

젠서버 설치 후 랜카드를 추가 할 경우

 

xe host-list 명령어를 통해 해당 호스트의 uuid를 확인하고

 

xe pif-scan host-uuid = <hostuuid> 명령을 입력하면 랜카드 추가가 완료됩니다.

 

xe pif-list 를 통하여 랜카드 등록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root@Xen01 /]# xe host-list
uuid ( RO)                : 8369cfb3-0696-4df3-aee3-6526c29494b5
          name-label ( RW):  Xen 1
    name-description ( RO): Default install of XenServer

[root@Xen01 /]# xe pif-scan host-uuid=8369cfb3-0696-4df3-aee3-6526c29494b5
[root@Xen01 /]#
[root@Xen01 /]#
[root@Xen01 /]# xe pif-list
uuid ( RO)                  : 033a4cbc-6f13-5258-e41e-3058d17695d2
                device ( RO): eth0
    currently-attached ( RO): true
                  VLAN ( RO): -1
          network-uuid ( RO): 433eeede-159c-d8e0-b118-ab5ea8f982f0


uuid ( RO)                  : 47cc19b8-79f6-3763-e00b-b5bb2b438f7c
                device ( RO): eth1
    currently-attached ( RO): false
                  VLAN ( RO): -1
          network-uuid ( RO): 5c58da08-cb3b-9948-b00a-77b2f5b6e700


uuid ( RO)                  : 0344b494-fe29-5280-125a-e774dfdcaf77
                device ( RO): eth2
    currently-attached ( RO): false
                  VLAN ( RO): -1
          network-uuid ( RO): 12c2eb67-cf29-d90a-5020-fabaea92478b
[root@Xen01 /]#

 

 

등록이 완료 된 후에는 XenCenter 를 통해 각 VM의 Network Tab에서

 

Add Interface를 눌러 해당 네트워크를 추가하여 이용하면 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