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4 리눅스 초보자를 위한 기본 명령어 리눅스는 서버 등 기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OS 입니다. 윈도우 사용이 익숙해져 있다 보니 리눅스를 처음 접하게 되면 터미널 사용 등이 익숙하지 않아 초보자가 사용으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리눅스 초보자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명령어들을 소개하고 그 사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각 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가지고 있지만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내용만 설명하고 옵션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명령어pwd (Print Working Directory)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합니다.pwdls (List)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보여줍니다.lsls -l # 자세한 정보 표시ls -a # 숨김 파일 포함cd (Change Directory)디렉토리 .. 2024. 10. 16. CentOS 라우팅 변경 하기 CentOS 설치한 서버에서 네트워크 접속이 안되는 오류가 발생 하였을 경우 라우팅 설정 문제로 인하여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라우팅 설정을 확인 하기 위해서 route 를 입력해 보자. 그림은 정상적으로 작동 되는 route 정보 이다. 숨겨진 IP 정보는 eth1 으로 192.168.56.0/24 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eth0을 이용한다. 라우팅 정보를 확인하고 장치와 설정값이 잘 못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값을 수정해 줘야 한다. 게이트웨이 삭제 route del default dev 예) route del default dev eth0 게이트웨이 추가 route add default gateway dev 예) route add default gateway 192.168.0.254 d.. 2014. 3. 5. [CentOS] Linux Network Device Name 변경 하기 Centos 사용중 하드웨어 장애로 인하여 메인보드나 랜카드를 교체한 경우 기존 하드웨어 정보가 남아 있어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Ifconfig 를 이용해서 보면 기존에 eth0, eth1 로 설정되어 있던 장치 이름이 eth3, eth4 처럼 기존에 사용하던 장치 명과는 다르게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치 명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의 수정이 필요 합니다. vi에디터로 해당 파일을 열어 보면 # vi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Mac Address, Device Name 등을 할 수 있습니다. Mac Address로 수정할 장치를.. 2014. 2. 28. Linux Vi 에디터 줄 번호 표시 하기 리눅스를 사용해서 각종 설정을 VI 에디터를 이용해서 수정하게 됩니다. 에러가 난 부분의 줄번호를 알고 있다면 손쉽게 에러가 발생 한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VI 에디터는 기본적으로 줄번호가 표시되지 않습니다. 줄번호를 보기 위해서는 :set nu 를 입력해 주식면 됩니다. 줄번호를 제거하는 명령어는 :set nonu 입니다. 2014. 1. 2. 이전 1 다음 반응형